본문 바로가기

Reports

작년 한해 어떤 선수가 상금을 가장 많이 받았을까?

오늘은 많은 분들이 이미 알고 계실수도 있습니다만 제가 주로 참고하는 사이트를 알려드릴 예정입니다. 저희 연구원은 산업적으로 특별한 이슈가 없는 기간에는 주로 이와 같은 다양한 정보들을 알려드릴 생각이니 많은 관심 바라며, 이 사이트는 E-SPORTS EARNING으로 (링크)는 글 최 하단에 있습니다.


어떤 데이타를 사용하든지 간에 중요한 것은 권위인데, 이 사이트에 대해서는 어떤 권위를 줄 수 있을지는 저는 알 수 없습니다. 다만 한가지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여기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식이 피디아 방식입니다. 피디아 방식이란 사이트를 이용하는 개인들이 직접 정보를 수정하는 방식을 제가 부르는 말입니다. 현재로써는 이러한 방식이라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정보를 입력하는데 참여를 하는가가 관건입니다. 사이트는 다소간에 세련된 모습은 아니지만 데이터는 꾸준히 수집한 것으로 보아서는 저희 관련산업에 계시는 선후배님들이나 기자님들이 충분히 참고하실 만한 수준은 될 것으로 믿습니다. 


예상을 어느정도 하셨으리라 믿지만 이 사이트 기준으로 2016년 한해 동안 선수로써 상금을 가장 많이 받을 수 있었던 종목은 도타2입니다. 실제로 'TI 2016'의 우승팀인 'Wings gaming'의 5명이 상금 랭킹 1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물론 상금의 금액이 종목의 인기를 온전히 반영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상금이 대회의 권위를 부여하는 것에는 대체적으로 큰 이견이 없습니다. 그 후로도 20위권 까지는 전부 도타2입니다. 21위 부터 LOL 종목의 SKT T1팀이 출현합니다. 그 이후에도 도타2 선수들이 주를 이루다가, CS:GO 종목의 'ESL One: Cologne 2016' 우승팀인 SK 게이밍 선수들이 등장합니다. 이 후에는 주류 종목의 선수들이 다양하게 혼합되어 있고, MVP팀의 도타2 선수들과 몇몇의 스타크래프트 선수들도 보입니다. 산업에 종사하시는 경우에는 좀 더 자세히 보시기를 권하며, 아래는 편하게 보실 분들을 위해서 몇 개만 간추려 보겠습니다. 


1. (China) iceice

2. (China) bLink

3. (China) y`

4. (China) Faith_bian

5. (China) Shadow

여기까지가 팀 'Wings gaming'이며 개인당 상금 수익은 '$1,923,666'으로 모두 같습니다. 대부분이 상금은 TI 2016의 우승 상금입니다. TI 2016의 우승 팀의 상금은 전체 상금의 44%인 '$9,139,002'로 5명이서 나누고 지역 상금까지 합치면 대략 이 정도 금액이 나옵니다. 한화로 계산하면 약 21억 7천만원 정도 됩니다. 


21. (KOR) Duke

22. (KOR) Wolf

23. (KOR) Bang

24. (KOR) Faker

25. (KOR) Blank

여기까지가 LOL 종목의 'SKT T1'팀 선수들입니다.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략 '$420,000' 수준입니다. 대부분은 작년 월드 챔피언쉽의 총 상금의 40%인 우승 상금 $2,680,000에서 비롯되는데, 이 사이트는 '$338,000'으로 개인 상금을 측정하는 것을 보면 8명이서 나누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31. (Brazil) FalleN

32. (Brazil) coldzera

33. (Brazil) fer

34. (Brazil) TACO

39. (Brazil) fnx

CS:GO 종목의 'SK게이밍' 소속 선수들입니다. 상금의 평균은 대략 '$365,000' 입니다. CS:GO는 아시다시피 작년까지는 상금 풀이 초대형 메이저 이벤트는 없었습니다. 밸브에서 메이저라 함은 $250,000 이상 상금 대회를 말하는데, 상금을 증액한 $1,000,000 대회가 작년에는 2개(MLG, ESL)가 있었고 올해는 좀 더 있을 것 같습니다. 분위기는 괜찮은 편입니다. 우승 상금은 50%인 $500,000입니다. 작년에 SK게이밍은 ESL One: Cologne 2016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다양한 의미가 있긴 하겠으나 전반적으로는 종목의 인기의 반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초대형 메이저 대회에 대해서는 종목사의 e스포츠에 대한 관점과 의지가 얼마나 중요한가를 보여주는 대목이라고도 볼 수 있겠습니다. 


40. (KOR) MP

41. (KOR) Forev

43. (KOR) QO

44. (KOR) DuBu

45. (KOR) Febby

도타2 종목의 'MVP' 선수들로 개인당 상금풀은 '$350,000' 이 안 되는 수준입니다. 다시 한번 말씀 드리지만 금액은 이 사이트에서 추정치이지 실제 수령을 증명하는 것은 아닙니다. e스포츠와 연관된 산업에서 종사하시면서 아직은 밝히 알지 못하시는 분이 이 글을 읽고 계신다면 MVP팀의 도타2 종목의 기록에 대한 국내 여론들의 생각을 검색해 확인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49. (KOR) Byun

스타크래프트2 종목의 변현우 선수입니다. '$300,000' 정도 되며 개인당 수익이기 때문에 작년 한해만 해도 메이저 종목 대비 수익이 그리 나쁘지 않은 편입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표기드리면 한화로는 약 3억 4천 만원 정도 입니다. 이 종목에 대해서는 말을 아껴야 하겠으나, 한 가지 공공연하게 밝히고 싶은 것은 (스타크래프트1과 개별적으로 또 특정 포지션으로는) 아직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사이트) E-SPORTS EARNINGS  에 공개된 내용입니다. 

*본문에 첨부되지 않은 썸네일 이미지의 출처는 도타2 트위처 계정입니다. 

*선수의 수익 루트는 다양하며 상금이 수익의 총액은 아닙니다. 


by erdc.kr